본문 바로가기
실전 육아

산후 우울증이 아기 애착형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대요

by chochochoi 2025. 4. 19.

산후 우울증과 아기 애착 형성의 관계

“엄마가 울고 있을 때, 아기는 뭘 느낄까요?”

출산 후 많은 엄마들이 겪는 ‘그 감정’,
산후 우울증이라는 이름이 붙는 순간,
더 죄책감이 밀려올 수도 있어요.

“아이를 보면 미안해요.”
“울고 싶고, 피하고 싶고, 그러면서도 안아주고 싶어요…”

그런데 그 마음,
정말 엄마의 잘못일까요?
그리고 이런 상태가 아기의 애착 형성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?

오늘은
✔️ 엄마의 마음이 흔들릴 때 아기가 받는 영향
✔️ 산후 우울 속에서도 애착을 지킬 수 있는 방법
함께 나눠볼게요.

📌 목차

  1. 산후 우울증, 생각보다 가까운 이야기
  2. 애착 형성? 그게 왜 그렇게 중요한데요?
  3. 산후 우울이 애착에 미치는 영향
  4. 아이와 눈 마주치기조차 힘든 날엔
  5. 엄마 마음 회복 루틴, 어렵지 않아요
  6. 작은 연결이 다시 애착을 만들어요

1. 산후 우울증, 생각보다 가까운 이야기

출산 후 2~3일만 지나면
감정이 벅차오르고, 눈물이 왈칵 쏟아지고,
모든 게 낯설고 무서울 때가 있어요.

이런 변화는 대부분의 엄마가 겪는 일이지만,
2주 이상 지속되거나,
아기에게 무관심하거나 감정이 무뎌진다면
‘산후 우울증’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.

저 역시 첫째를 낳고 3일 후..그러니까 조리원으로 옮긴 첫 날,

말도 못 할 우울감이 밀려와서 이불을 뒤집어쓰고 한참 울었던 기억이 나네요😥

💡 우리나라 엄마 10명 중 3명 이상이 겪고 있대요.
혼자만 그런 거 아니에요.

 

2. 애착 형성? 그게 왜 그렇게 중요한데요?

애착이란,
아기가 “세상은 안전하다”는 감정을
처음으로 배우는 정서적 연결의 끈이에요.

엄마의
🤱 따뜻한 품
👀 응시
👂 반응하는 태도
이 세 가지가 반복되면서
아이의 마음은 점점 안정되고 자라나게 돼요.

3. 산후 우울이 애착에 미치는 영향

엄마가 산후 우울을 겪으면
자기도 모르게 반응이 느려지고,
아기와 교감할 에너지가 바닥나 있어요.

이럴 땐 이런 모습이 나타날 수 있어요:

🔸 눈 맞춤 회피
🔸 일관성 없는 반응
🔸 무기력한 말투나 표정

아이는 말은 못하지만,
이러한 변화를 온몸으로 느끼며 반응해요.

  • 낯가림이 심해지고
  • 잠을 불안하게 자고
  • 분리불안을 강하게 보일 수도 있어요

첫째 10개월쯤에도 정말 정신적으로 힘든 일이 있어서 아이를 무기력한 말투와 표정으로 대했더니

아이도 표정이 굳어지며 그 작고 어린 것이 제 눈치를 살피는 듯한 느낌을 받았어요.

그 모습을 보고 정신이 번뜩 들었답니다😅

4. 아이와 눈 마주치기조차 힘든 날엔

정말… 그런 날이 있죠.^^;;
아이 얼굴조차 보기 싫고,
울음소리만 들어도 가슴이 답답해지는 날.

이럴 땐 ‘나는 왜 이러지’라는 자책보다,
“내가 지금 많이 힘들구나”라고
내 감정을 인정해주는 게 먼저예요.

💬 “내가 아기를 사랑하지 않는 게 아니라,
지금 내 안의 에너지가 바닥났구나.”

5. 엄마 마음 회복 루틴, 어렵지 않아요

🌿 감정일기 써보기
하루 3줄이라도, 내 기분을 적어보는 것만으로
감정이 한층 가벼워져요.

일기를 쓰기가 어렵다면 남편이나 친구에게 털어놓는 것으로도 충분히 좋아져요.

🌙 저녁 루틴 만들기
불 꺼진 방 안에서
아기 재우고 잠시 멍 때리는 그 10분,
그 짧은 시간도 엄마 멘탈 회복의 시간이에요.

(물론 현실은 너무 피곤해서 멍때리다 잠들 확률 90%지만🤣)

따뜻한 음료 한 잔
따뜻한 차 한 잔은
마음을 느리게 해주는 최고의 도구예요.

 

 

6. 작은 연결이 다시 애착을 만들어요

애착은
특별한 방법이 아니라, 반복되는 연결에서 만들어져요.

💖 오늘 한 번 아이 눈을 바라보고
💖 오늘 한 번 “사랑해”라고 말해주고
💖 오늘 한 번 팔짱 끼고 포옹해주는 것

그걸 매일 쌓아가기만 해도
아이의 마음엔 ‘엄마는 내 편’이라는 안전기지가 생겨요.

저는 이걸 알고부터 하루에 세번씩 의식적으로 꼭 안아주며 사랑한다고 말하고 있어요.

타이밍을 정해두면 생각만큼 어렵지 않더라구요.

저는 등원 때 잘 다녀오라며 한번, 하원 때 보고싶었다며 한번,  취침 직전에 잘 자라며 한번씩 해주고 있어요.

 

🧡 

산후 우울은 약한 엄마가 아니라,
지극히 인간적인 반응이에요.

그리고 그 상황에서도
애착은 여전히 회복될 수 있어요.
내가 오늘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
다시금 아이와의 연결을 만들어갈 수 있으니까요.

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,
이미 좋은 엄마예요.
그리고 아이는 그런 당신을 사랑하고 있어요. 🥰

산후 우울증이 아기 애착형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대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