육아휴직 1년 6개월 연장 소급 조건 vs 6+6 육아휴직 조건
헷갈리는 부분 예시로 딱 정리해드려요!(심화편)
💡 올해 육아휴직을 준비하는 부모님들 사이에서 가장 헷갈리는 것 중 하나가 바로 1년 6개월 연장 육아휴직과 6+6 육아휴직인 것 같아요^^.
저는 6+6은 이미 사용해봤고, 1년 6개월 연장은 몇년 전에 법안 발의 되던 시점부터 어서 통과되게 해주세요 기도😂하면서 지켜봐서 그런지 두 개가 그리 헷갈리지는 않거든요.
그래서 주변에서 육아휴직 내용이나 조건에 관해 궁금해하면 최대한 아는 한도 내에서 설명을 해드리곤하는데,
은근히..가 아니고 대놓고 육아휴직 1년 6개월 연장과 6+6 부모함께육아휴직특례를 헷갈리는 분들이 많으시더라구요.^^
특히 적용 대상 조건 부분이요. 🤔
육아 지원 법안이 많아지면 좋긴하지만 그래도 이왕 하는 거 조건도 좀 깔끔쌈빡하게 만들어줬으면 얼마나 좋아요?
아무튼 그래서 준비해봤습니다.
육아휴직 1년 6개월 연장 소급 조건 vs 6+6 육아휴직 조건 딱 알려드림!!
많은 분들께서 헷갈려했던 부분을 딱 찝어서 비교 정리해 드릴게요!
자세한 기준과 차이점,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깔끔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.
📢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, 내 상황에서 배우자와 육아휴직을 어떻게 분배해서 사용해야 유리한지 감 잡으실 수 있을 거예요😊
📌 목차
✅ 육아휴직 1년 6개월 연장 vs 6+6부모함께 육아휴직 특례, 뭐가 달라요?
✅ 블로그 주인이 실제 사용한 휴직과 앞으로의 육아휴직 사용 계획
📌 육아휴직 1년 6개월 연장 vs 6+6 부모함께육아휴직특례, 뭐가 다를까?
2025년 현재 적용 중인 육아 지원 제도 중 가장 핫한 것은 바로 이 두 가지!
✔️ 육아휴직 1년 6개월 연장
✔️ 6+6 육아휴직
최근의 육아휴직 제도는 부모가 함께 육아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향의 정책이 트렌드예요.
위의 두 제도가 공통적으로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을 해야 수혜 대상이 되는 것은 맞지만, 적용 조건도 내용도 다릅니다.
일단
✔️ 육아휴직 1년 6개월 연장 = 육아휴직 기간 연장
✔️ 6+6 육아휴직 =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수 증액
이 개념을 기억하시고 글을 읽어보시면 이해가 수월하실 거예요.
하나씩 차근차근 알아볼게요! 😊
1️⃣ 육아휴직 1년 6개월 연장
💡 기존 유급 휴직 1년에서 최대 1년 6개월까지 연장 가능!
📍 적용 조건
✔️ 육아휴직 대상 자녀가 만 8세가 되기 전까지
✔️ 부모가 각각 최소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해야 함
✔️ 부모가 3개월을 동시에 쓰든 따로 쓰든 상관없이 적용
✔️ 부모가 각각 3개월씩 휴직 사용 시 부모 각자 유급 육아휴직 18개월(1년 6개월) 사용 가능
✔️ 혹은 한부모/중증장애아동 부모일 경우 적용 가능
✨조건 이외의 자세한 내용들은 이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^^
육아휴직 1년 6개월 연장/소급 조건 과 활용 꿀팁까지 알아봐요^^
2025년 2월 23일부터 (조건부)육아휴직 기간 확대! 부모 모두 1년 6개월씩, 최대 3년 가능해요📌 목차✅ 2025년 육아휴직 기간, 얼마나 늘어날까? 나눠 쓰기도 가능한가? ✅ 육아휴직 1년 6개월 연
chochochoi.com
📍 예시로 보는 1년 6개월 연장 제도
💡6개월 연장 상황1
👶 아이: 2025년 3월 1일 출생
👩 엄마: 출산휴가 3개월, 육아휴직 2년 사용 예정
👨 아빠: 2026년 하반기에 육아휴직 3개월 사용 예정, 6+6특례 내용 모르는 상태
👉 원래대로라면 엄마는 유급 육아휴직이 26년 5월에 끝나고 무급 휴직으로 복직 전까지 생활해야했지만,
아빠가 중간에 휴직 3개월을 사용하면서 엄마 아빠 모두 유급 휴직 6개월 연장 대상이 된 거예요! 😍
✅ 덕분에 엄마는 복직 전까지 소득 공백을 줄이면서 안정적인 휴직을 이어나갈 수 있게 되겠죠?
✅ 대신, 아빠가 휴직을 시작한 시점에는 아기가 생후18개월이 지난 후라 6+6 특례 적용은 되지 않은 예시예요.
그렇다면 이번에는 법 시행 전인 25년도 이전 출생 아이에 대한 예시도 들어볼게요.
💡6개월 연장 상황2
👶 아이: 2018년 11월 1일 출생, 2025년 초등학교 1학년
👩 엄마: 출산휴가 3개월과 육아휴직 2년 이미 사용 후 복직, 남은 육아휴직 없음
👨 아빠: 육아휴직 1년6개월 연장 소식을 듣고 아이 입학에 맞춰 육아휴직 6개월 사용 예정
👉 원래대로라면 엄마는 육아휴직을 모두 사용하여 아이 입학 때는 휴직을 사용할 수 없었으나
아빠가 25년도에 휴직 6개월을 사용하면서 엄마 아빠 모두 유급 휴직 6개월 연장 대상이 된 거예요! 😍
✅ 덕분에 아빠는 아이 1학기, 엄마는 아이 2학기에 아이 케어가 가능해진 거죠.^^
✅ 대신, 아빠가 휴직을 시작한 시점에는 아기가 생후18개월이 지난 후라 6+6 특례 적용은 되지 않은 예시예요.
✅ 엄마가 휴직을 다 사용하고, 아이 나이가 많아서 안 될 거라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
✅ 아이의 나이가 법정 육아휴직 대상자 나이(만 8세) 이전이면 소급 적용이 가능해요!
✅ 상황2의 아이는 2018년 11월 1일생이니 만 6세인 상태로 적용이 가능한 상황인거죠^^
2️⃣ 6+6 부모함께육아휴직 특례
💡 부모가 6개월 한도 내에서 각자 육아휴직을 쓴 개월 수만큼 휴직 급여 상한액 증액 적용
📍 적용 조건
✔️ 육아휴직 대상 자녀가 생후 18개월이 되기 전까지
✔️ 부모 둘 다 육아휴직을 '개시'하면 적용
✔️ 자녀 생후 18개월 이내에 부모 휴직 기간이 겹치지 않아도 적용 가능
✔️ 2023년 12월 31일 이전에 부모 둘 다 첫 육아휴직 6개월을 '모두' 사용하지 않았을 것.
✨조건 이외의 자세한 내용들은 이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^^
6+6 부모육아휴직제 급여 계산 예시와 동시/순차신청 어떻게 써야 유리한지 직접 써본 사람이 완
6+6 부모육아휴직제(부모함께육아휴직특례)동시/순차 신청? 급여, 장점단점 .. 직접 써보고 알려드립니다^^ 작년,"육아휴직? 그냥 쉬는 거 아니야?" 라고 생각하던 남편이 휴직을 결심했습니다^^6
chochochoi.com
📍 예시로 보는 6+6 육아휴직 제도
💡6+6특례 상황1
👶 아이: 2025년 3월 1일 출생
👩 엄마: 출산휴가 3개월, 육아휴직 2년 사용 예정. 통상임금 350만 원
👨 아빠: 2026년 하반기에 육아휴직 5개월 사용 예정, 6+6특례 적용도 생각하고있음. 통상임금 400만 원
(1년 6개월 연장 상황1 예시를 들었던 집이예요.^^)
👉 1년 6개월 연장 예시를 들었을 때는 아빠가 26년 8월부터 휴직을 시작해서 아이 생후 18개월을 넘기는 바람에 6+6특례 적용을 받지 못 했는데요, 이번에는 아빠가 6+6특례 적용을 위해 마음을 바꾸어(!) 26년 7월 말부터 휴직을 시작했어요.
✅ 아이가 17개월 XX일이 되었을 때 아빠가 휴직을 '개시'했으므로 6+6 부모함께육아휴직 특례 대상자가 되었고,
✅ 아빠는 6개월 한도 중 5개월을 휴직을 했으니 엄마와 함께 각각 5개월치씩 6+6특례 적용을 받아 휴직 급여 상한액이 증액 된 상태로 급여를 받을 수 있답니다^^
✅ 참고로 6+6특례 적용을 받은 급여 차액분은 아빠가 휴직급여 신청을 하면 엄마한테도 자동 입금되지만
✅ 연장된 6개월 분 휴직은 회사에 다시 육아휴직 신청을 하셔야 적용받을 수 있는 거예요.
이렇게 1개월 차이로 받을 수 있는 육아휴직 급여 총액이 달라지는 상황을 잘 보셨죠?
그래서 올해부터는 엄마와 아빠의 휴직계획을 상황에 맞게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해졌어요.😊
다른 예시도 한번 들어볼게요
💡6+6 특례 상황2
👶 아이: 2023년 12월 1일 출생
👩 엄마: 출산휴가 3개월 사용, 육아휴직 2개월 사용 후 복직. 육아휴직 6개월 연장을 위해 25년도에 휴직 4개월 예정. 통상임금 450만 원
👨 아빠: 출산휴가 이후부터 쭉 육아휴직 중. 2년 휴직 계획. 통상임금 300만 원
👉 엄마가 회사 사정으로 육아휴직을 2개월만 쓰고 복직한 케이스예요. 25년 2월23일부터 육아휴직 1년6개월 연장 법안이 시행이 된다는 소식을 듣고 6개월 연장과 남은 6+6특례 활용을 위해 25년에 4개월 더 휴직을 하는 상황입니다.
✅ 엄마아빠가 24년에 같이 2개월 휴직을 사용할 당시는 24년 휴직 급여+24년 6+6특례급여 기준을 적용한 금액을 받았구요,
✅ 25년에 엄마가 휴직을 4개월 사용할 때, 아빠는 이미 24년도에 받은 휴직급여를 기준으로 6+6특례 적용을 받기 때문에 위와 같은 금액으로 계산이 되는 거예요.(사실 특례 상한액은 1개월차 말고는 변화가 없어서 1개월차를 24년에 받은 상황에서는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^^)
✅ 6+6 적용을 위해 아기 생후 18개월 전이라면 엄마가 25년 4월까지 휴직을 써야하지만 이번 예시에서는 이미 24년 3월에 첫 휴직을 개시했기때문에 4월 이후에 휴직을 쓰더라도 6+6특례 적용이 가능 해져요.
이젠 육아휴직 1년 6개월 연장과 6+6부모함께육아휴직 특례를 헷갈리지 않고 잘 사용할 수 있으시겠죠?😊
✔️ 육아휴직 1년 6개월 연장 = 육아휴직 기간 연장
✔️ 6+6 육아휴직 =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수 증액
이 개념만 헷갈리지 않으시면 얼마든지 혼자서 계산해보실 수 있어요!
💡 가정의 상황에 따라 휴직 기간을 잘 계산해서 이용해보세요!
저희집에서 세워놓은 육아휴직 계획을 살짝 보여드릴게요😎
✔️ 저희집의 경우 첫째 출휴-첫째 유급휴직➡첫째 무급휴직 ➡ 둘째 출휴 ➡ 둘째유급휴직 ➡ 둘째무급휴직 중 아빠가 둘째 휴직을 사용하여 도중 6+6 특례 적용을 받았고,
✔️ 특례 종료 후 저는 무급으로 잠깐 전환됐다가 셋째 산전 육아휴직을 써서 셋째 출산휴가때까지 급여 수급을 이어가고 있어요. 남편은 첫째 휴직을 사용하고 있구요.
✔️ 셋째 출산 후에는 다시 셋째 출휴 ➡ 셋째 남은 유급휴직+남편 셋째 휴직 ➡ 연장된 첫째 유급6개월 ➡ 연장된 둘째 유급6개월 ➡ 연장된 셋째 유급6개월.. 일단은 이렇게 휴직을 이어가서 약 8년정도 육아휴직을 이어갈 예정입니다.^^(사정에따라 남은 무급휴직을 이용하여 더 이어갈 수도 있구요)
👶 여러분도 육아휴직을 알차게 사용해서, 소중한 우리 아기와 함께하는 시간을 더 많이 가져보세요! 💖
💬궁금하신 내용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^^
'실전 육아 > 육아휴직&지원제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남편 육아휴직, 가정과 육아에 도움이 될까? 동반휴직 남편 1년 실사용 후기 (1) | 2025.04.09 |
---|---|
산전육아휴직 조건부터 급여 신청 필요 서류, 활용꿀팁도 보고가세요~ (0) | 2025.04.02 |
아이돌봄서비스 신청 전에 소득기준 비용 체크해보세요^^ 신청 방법이랑 자격도 알려드릴게요 (0) | 2025.03.04 |
6+6 부모육아휴직제 급여 계산 예시와 동시/순차신청 어떻게 써야 유리한지 직접 써본 사람이 완전 이해시켜드림!! (0) | 2025.03.03 |
2025년 다자녀 혜택 기준 확대된대요! 혜택(취득세/대출/장학금/청약) 확인해보세요 (0) | 2025.02.26 |
2025년 부모급여 아동수당 가정양육수당 지급대상 지급시기 금액 최신 정보 (0) | 2025.02.22 |
2025년 출산휴가 기간 급여 모의계산기 신청 전에 체크해보기 (feat. 배우자 출산휴가) (1) | 2025.02.21 |
임산부 친환경 농산물꾸러미 신청 기간 방법 이용팁 장점 단점 알아보고 알차게 이용해요! (0) | 2025.02.21 |